Biquid 이해하기
Last updated
Last updated
유동성 스테이킹(Liquid Staking)은 기존 스테이킹 방식의 락업(lock-up) 문제을 보완한 획기적인 방법입니다. 기존 스테이킹 방식에는 주기적으로 일부 보상을 받는 대신, 스테이킹한 암호화폐가 일정 기간 동안 네트워크에 묶여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유동성 스테이킹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테이킹에 참여한 사용자에게 스테이킹의 증표로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을 지급합니다. 사용자는 다른 DeFi 플랫폼에서 이 토큰을 자유롭게 활용하면서도 스테이킹 보상은 그대로 받을 수 있게 되어, 스테이킹의 혜택과 유동성을 동시에 누릴 수 있게 됩니다.
스테이킹한 암호화폐는 검증인(Validator)에게 위임되어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검증인은 이 암호화폐를 이용해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트랜잭션을 검증하며, 이에 대한 보상으로 암호화폐를 받습니다. 보상은 검증인과 스테이킹에 참여한 사용자에게 분배됩니다. 일반적으로 검증인은 보상 중 일부를 수수료로 가져가고, 나머지는 스테이킹한 사용자들에게 그들이 맡긴 암호화폐의 양에 비례해 분배합니다.
바이프로스트 유동성 스테이킹(Biquid)은 BFC 스테이킹으로 수익을 창출하면서, 스테이킹된 BFC를 유동화하여 다양한 DeFi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솔루션입니다. BFC를 스테이킹하면 stBFC나 wstBFC로 지급받으며, 이것을 원할 때 다시 BFC로 교환하거나 DeFi에 예치하여 추가적인 수익을 위해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스테이킹된 BFC는 수익성과 안정성 측면에서 최적의 검증인에게 위임되어 바이프로스트 네트워크의 안정성 강화에 사용됩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언스테이킹 요청을 하고 언스테이킹 기간이 모두 지나면 출금 가능한 상태로 바뀌며, 출금 요청 시 BFC가 출금됩니다.
Biquid에서는 사용자가 BFC를 스테이킹할 수 있습니다. BFC는 바이프로스트(Bifrost)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코인으로, 네트워크 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BFC는 아래에 나열된 거래소에서 쉽게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Upbit(BFC/BTC)
Bithumb(BFC/KRW)
KuCoin(BFC/USDT)
Gate.io(BFC/USDT, BFC/ETH)
HTX(BFC/USDT)
Cryptology(BFC/USDT)
Korbit(BFC/KRW)
스테이킹을 완료하면 stBFC 또는 wstBFC가 지급됩니다. (w)stBFC를 소유한 사람이 스테이킹 참여자로 간주되며, 이에 따라 주기적으로 스테이킹 보상이 지급됩니다. 즉, (w)stBFC를 다른 DeFi 플랫폼에서 활용하더라도 소유권이 유지되는 한 계속해서 스테이킹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w)stBFC를 다른 암호화폐로 스왑하거나, 언스테이킹에 사용하면 소유권이 사라지며 더 이상 스테이킹 보상을 받을 수 없습니다. 결국 (w)stBFC의 소유권이 스테이킹 참여 여부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가 됩니다.
stBFC는 리베이싱(rebasing) 토큰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가 소유한 stBFC의 수량이 자동으로 증가합니다. 즉, 스테이킹 보상은 stBFC의 수량이 늘어나는 형태로 지급되며, stBFC와 BFC의 교환 비율은 항상 1:1로 유지됩니다.
wstBFC는 리워드 베어링(reward-bearing) 토큰으로, 시간이 지나도 wstBFC의 수량은 변하지 않지만, 하나의 wstBFC로 교환할 수 있는 BFC의 수량이 스테이킹 보상만큼 증가합니다. 즉, wstBFC 1개의 가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BFC와 교환될 수 있는 형태로 상승하게 됩니다.
stBFC와 wstBFC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이자 반영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연간 수익률이 10%인 상황에서 100 BFC를 스테이킹한 후, 100 stBFC와 100 wstBFC를 각각 지급받은 상황을 비교해보겠습니다. 100 stBFC를 지급받은 경우, 1년 뒤에는 보유한 stBFC의 수량이 110 stBFC로 늘어납니다. 반면에, 100 wstBFC를 지급받은 경우에는 수량은 그대로 100 wstBFC로 유지되지만, 1 wstBFC로 교환할 수 있는 BFC의 수량이 10% 증가합니다. 결국 두 경우 모두 1년 후에 110 BFC를 출금할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 stBFC와 wstBFC는 각각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어, 활용하기에 적합한 DeFi 서비스도 다릅니다. 먼저, stBFC는 수량의 증가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DeFi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자와 원금을 분리하여 거래하거나 운용하는 Yield Farming을 지원하는 서비스에서는 stBFC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반면, wstBFC는 토큰 수량의 고정이 중요한 DeFi 서비스에서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랜딩 프로토콜에서 wstBFC를 담보로 사용할 경우, 토큰 수량이 고정되어 있어 랜딩 프로토콜에서 사용자 별 토큰 수량 변동을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사용자가 스테이킹한 BFC는 수익성과 안정성 측면에서 최적의 검증인에게 위임 되고, 검증인은 이것을 바이프로스트 네트워크 안정성 강화에 사용합니다. 검증인은 이것을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규칙에 따라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새로운 블록을 생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검증인과 사용자 모두에게 보상이 분배됩니다.
언스테이킹은 바이프로스트 네트워크에 스테이킹된 BFC를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잠금 해제하는 과정입니다. 사용자는 stBFC 또는 wstBFC로 언스테이킹을 요청할 수 있으며, 언스테이킹 기간이 모두 지나면 BFC를 출금할 수 있게 됩니다.
사용자가 언스테이킹을 요청하면, 해당 요청에 사용된 토큰은 소각되고, 언스테이킹 요청 일시와 수량 등의 정보를 담은 Withdrawal NFT가 발행됩니다. 이후 언스테이킹 처리 기간이 지나면, 사용자는 Withdrawal NFT를 통해 BFC 출금을 요청할 수 있으며, NFT에 담긴 정보를 기반으로 BFC가 출금됩니다. 출금이 완료되면 Withdrawal NFT는 소각됩니다.
Biquid에서는 래핑과 언래핑을 통해 stBFC와 wstBFC를 무료로 교환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를 참고해주세요!